내가 연구하고 싶은 건!

학교에서 궁금함을 해결해보자♥♥

  • 제목에 학번 쓰세요. (검색 안될 시, 점수 인정 없음)

수업 또는 강의를 들을 때 쉽게 졸음이 오는 원인

생명과학
Author
10717이재준
Date
2022-05-17 00:42
Views
8098
1. 서론
고등학교에 입학하고 추운 겨울을 지나 봄이 되고, 또 여름이 오려고 하자,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때로는 선생님이 부르는 말씀도 듣지 못하고 잠에 들곤 한다.
이렇게 매일같이 졸리고 피곤해 하는 것을 보니,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다. 왜 학생들이 수업을 들을 때 졸음이 오는가? 단순히 전 날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고 그 때문에
쌓인 피로로 잠이 오는 것인가? 단순 수면부족의 피로도 있을 수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래서 본 글에서 수업시간에 쉽게 졸음이 오는 이유를 주제로 알아볼 것이다.

2. 본론
먼저, 수업이 아니더라도 학생들이 쉽게 졸리는 이유가 있는데, 봄이 되어 온몸이 나른해지고 이유 없이 졸음이 쏟아지는 현상을 춘곤증 이라고 한다. 이 춘곤증은 많은 사람들이 겪으며, 4~5월에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 춘곤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차갑고 건조하던 겨울의 날씨가 갑자기 따뜻해지며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큰 변화가 생기고, 상대적으로 긴 겨울에 적응했던 신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피로감이 잘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하기 전 쉬는 시간에는 피곤한 느낌을 덜 받는데, 수업만 시작하면 잠이 오는 이유 몇가지 이유가 있다.
그 첫째는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수업시간 학생들을 보면 관심있는 부분을 배울 때, 알고있는 부분을 발표 하라고 할 때, 또는 선생님들의 연애사 등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행동을 할 때는.
잘 깨어있다. 이는 뇌가 흥분되어 각성 상태가 유지되어있으며, 그에 따라 스트레스 호르몬들(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코티졸 등)이 같이 나와 깨어있는 정신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평소 수업을 들을 때는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뇌의 흥분도가 떨어져 각성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되고, 뇌 내부의 통합적 사고를 구성하는 뉴런이 아닌 옆에서 영양분을 공급시켜주는 성상세포(astrocyte)라는 곳에서 아데노신을 만들어내게 되고(아데노신은 뇌, 근육을 연결해 주고 있는 신경전달물질의 이동을 방해하며, 결국에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느리게 만든다), 이를 측위신경핵에서 받아들이게 되어 잠이드는, 휴식모드로 전환을 하려 한다. 또한, 수업 시의 강사가 단조로운 어투, 비슷한 크기의 소리, 일정한 패턴으로 말을 하는 경우에도 자극이 부족하여 빠르게 잠이 오게 된다.
두번째로, 이런 사람 안의 요인외에, 바깥에서 우리에게 주는 영향이 있다. 보통 겨울, 여름처럼 냉난방을 해야 할 때에는, 교실의 창문을 닫는다. 그런데 수업을 들을 때 교실내의 사람의 수는 보통 2~30명 정도이고, 그 많은 사람들이 밀폐된 교실 내에서 숨을 쉬어 내뿜는 날숨(이산화탄소)은 점점 농도가 올라가게된다.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게 되면, 뇌로 가는 산소의 양은 줄어들게 되어, 잠들고 곯아떨어져 버린다.

3. 결론
수업시간에 잠이 오는 이유는, 신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몸이 피로해져서, 재미가 없어 뇌가 각성상태가 되지 못하여 스트레스 호르몬들이 분비되지 않아서, 밀폐된 공간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서이다.
만약, 잠이 오지않는 수업시간을 만들려고 한다면, 겉옷을 들고다녀서 체온을 조절에 신경을 쓰고, 강사가 단조롭지 않은 어투,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게 수업을 하고, 교실내를 수시로 환기를 해 주는 방법등이 있다.


출처:
짹선생 유튜브: 왜 수업하고 강의만 들으면 졸린걸까 https://www.youtube.com/watch?v=V7Sznhh635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23
Total Reply 0

Total 189
Number Thumbnail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Notice
과학탐구실험 대표첨삭
wookoowookoo | 2022.03.29 | Votes 0 | Views 1462
wookoowookoo 2022.03.29 0 1462
Notice
과학탐구실험 과제 제출 (3)
공지사항 | 2022.03.22 | Votes 0 | Views 1513
공지사항 2022.03.22 0 1513
1
철의 제련과정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산화환원 반응
10423 조상우 | 2022.12.27 | Votes 0 | Views 202
10423 조상우 2022.12.27 0 202
2
10608 박민기
10608 박민기 | 2022.12.20 | Votes 0 | Views 403
10608 박민기 2022.12.20 0 403
3
10908 10915 10920 10921 10922
장진호 | 2022.12.07 | Votes 0 | Views 223
장진호 2022.12.07 0 223
4
11111 11113 11115 11116 11124 해양쓰레기 (2)
11111 | 2022.12.07 | Votes 0 | Views 269
11111 2022.12.07 0 269
5
10804 10826 10827 10814 10825 (1)
10825홍석린 | 2022.12.07 | Votes 0 | Views 188
10825홍석린 2022.12.07 0 188
New